돈을 빌린 사람은 일정기간 동안 돈을 쓰고 난 다음 빌린 원금 외에 돈을 쓴 데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데 이를 이자라 하며, 이자의 원금에 대한 비율을 이자율 또는 금리라고 한다.


금리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돈을 빌리려고 하는 자금의 수요와 돈을 빌려주고자 하는 자금의 공급을 원활히 조절해 주는 기능이다. 자금의 공급보다 수요가 많으면 금리가 오르고 그러면 돈을 빌리는 데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자금에 대한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이자가 많아져 자금의 공급은 늘어나게 되어 결국 수요와 공급이 같아지게 된다.


또, 금리는 자금의 배분 기능도 수행한다. 금리가 오를 경우 자금의 공급은 늘어난다. 한편 장사가 잘 되는 산업부문은 더 많은 금리를 줄 수 있으므로 그 쪽으로 돈이 몰리게 된다. 결국 금리는 이익을 많이 내는 산업으로 더 많은 자금이 흘러가도록 함으로써 나라 전체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자금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금리는 계산방법에 따라 단리와 복리로 나뉜다. 단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만 계산하는 방식이고, 복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뿐만 아니라 이자에 대한 이자도 함께 계산하는 방법이다.

또한 금리는 돈의 가치 즉 물가의 변동을 고려하느냐에 따라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로 구분할 수 있다. 명목금리는 돈의 가치변동을 고려하지 않는 금리이며,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금리이다.


그리고 겉으로 드러나 표면금리와 실제로 지급받거나 부담하게 되는 실효금리로 나눌 수도 있다. 표면금리가 동일한 예금일지라도 복리, 단리 등의 이자계산방법이나 이자에 대한 세금의 부과여부 등에 따라 실효금리는 달라진다.


금리는 자금이 거래되는 금융시장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앙은행과 금융기관 사이에 적용되는 재할인금리, 금융기관과 고객 사이에 적용되는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금융기관 사이의 단기자금거래에 이루어지는 콜금리 등이 있다. 한편 금리는 채권시장에서는 채권수익률이라는 말로 대체되기도 한다. 금리 조절 역할은 한국은행이 맡고 있다.


한국은행이 재할인 금리를 내리면 시중 은행들은 한국은행으로부터 더 적은 이자를 내고 돈을 빌릴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금융시장에서는 전반적으로 금리가 내려가게 된다. 한편으로 금융시장에서 통화안정증권과 같은 채권을 사고 파는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간접적으로 금리를 조절한다.


한국은행이 시중으로부터 돈을 거두어 들이기 위해 가지고 있는 채권을 시장에 내다 팔면 시중의 돈의 양이 줄어들고 채권의 가격이 떨어져 금리는 올라가게 되며, 반대로 채권을 사들이면 돈의 양이 들어나고 채권의 가격이 올라가 시중 금리는 떨어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