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작동되던 PC가 갑자기 이상한 메시지를 내고 다운이 된다거나 화면 스크롤이 느려지는 등 다양한 이상증상을 발생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PC에 대해 잘 모르는 사용자라면 당황 스럽고 답답할 경우까지 있을 것입니다.

물론 PC를 잘 알고 있는 사용자에게는 이런 문제가 발생해도 스스로 원인을 파악해 해결할 수 있겠지만 PC 주니어나 초보자에게는 어려운 일일 수 도 있습니다.

pcBee 주니어 하드웨어 편에서는 PC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의 대처 방안과 해결방안을 중점으로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지금까지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PC 내부의 부품들과 운영체제에 관한 오류를 알아보았다. 지금부터는 저장장치에 관한 각종 오류를 알아보도록 한다.


저장장치에서의 오류들

이번 pcBee 주니어 하드웨어편은 가장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저장장치오류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저장장치는 FDD, HDD, CD-ROM, DVD-ROM등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이런 저장장치는 메인보드와 직접 연결되는데 FDD는 FDD 포트에, HDD와 CD-ROM과 같은 E-IDE 장치는 IDE 포트에 연결됩니다.

IDE 포트는 일반적으로 메인보드에 2개의 포트를 갖고 있고 각 포트에는 2개씩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Primary와 Secondary는 메인보드의 포트를 말하며 전자는 첫번째 IDE 포트, 후자는 두번째 IDE 포트를 말합니다.

각 포트에는 2개의 저장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첫번째 저장장치를 Master, 두번째 저장장치를 Slave라고 합니다. IDE 장치인 HDD나 CD-ROM의 후면을 보면 저런 용어들이 나오고 자그만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점퍼들이 보입니다.

이 점퍼를 이용해서 Master 혹은 Slave 저장장치로 사용할 것인지를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HDD가 Primary 포트 Master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면 CD-ROM은 Primary Slave, Secondary Master, Secondary Slave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다른 장치와 같은 채널을 중복하지만 않으면 됩니다. 보통 중복된 채널을 지정한 경우에는 컴퓨터의 전원을 넣었을 때 케이스의 LED가 계속 켜져있거나 화면에 반응이 없거나 바이오스에서 오류메시지를 화면에 띄우곤 합니다.

이제 몇 가지 경우의 저장장치 오류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Q1. 새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을 때

새 하드디스크를 시스템에 연결했을 때 BIOS는 물론 OS에서도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문제는 대부분 설치 과정에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A1. 하드디스크 점퍼 설정

이번 글의 서두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하드디스크를 설치할 때는 Master에 설치할지, Slave에 설치할지 정해야 합니다.

① 기존의 하드디스크와 CD-ROM이 다른 케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기존에 있던 하드디스크를 제거하고 새 하드디스크를 설치한다면 Master, 기존의 하드디스크에 설치한다면 Slave로 설정해야 합니다.

② 기존의 하드디스크와 CD-ROM이 같은 케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기존의 하드디스크를 제거할 때는 마찬가지로 Master, 기존의 하드디스크를 계속 사용할 때는 새 하드디스크가 Master가 됩니다.

보통 하드디스크와 CD-ROM은 다른 케이블에 설치하는 ①번을 권장합니다. 하드디스크의 점퍼 설정은 하드디스크마다 다릅니다. 하드디스크 겉면에 있는 점퍼표를 참고하여 점퍼가 제대로 설정됐는지 살펴봅니다.


A2. 케이블 연결 불량

IDE 케이블을 연결할 때는 커넥터 위의 돌출된 부분과 하드디스크 커넥터의 패인 곳을 맞춰줘야 합니다.

IDE 케이블을 자세히 보면 한쪽에 빨간선이 칠해져 있는데 이 부분이 하드디스크 커넥터의 1번 부분과 연결되어야 합니다(보통 돌출된 부위를 맞춰 연결하면 1번에 연결됩니다).

또 파워 케이블 역시 한 선이 빨간색으로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이 IDE 케이블의 빨간색과 맞닿게 연결합니다.


IDE 케이블의 나머지 한쪽은 메인보드의 IDE 포트에 연결하는데, 이때도 케이블의 빨간선이 IDE 포트의 1번 방향에 오도록 꽂아야 합니다. 메인보드의 IDE 포트에도 하드디스크의 커넥터처럼 패인 곳이 있으므로, 여기에 맞춰주면 됩니다.
 


A3. CMOS 셋업

요즘 출시되는 대부분의 메인보드 CMOS는 자동으로 하드디스크를 감지하며 아래의 CMOS 그림에서는 "AUTO"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IDE Auto Detection에서 새 하드디스크가 설치되는 채널이 None이나 User로 설정되어 있으면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CMOS의 HDD Auto Detected 메뉴에서 새로 구입한 하드디스크를 LBA 모드로 인식시킨 뒤 다시 부팅 해보세요. 이 메뉴가 없을 때는 Standard CMOS Setup 메뉴에서 Auto로 설정합니다.
 


A4.구형 메인보드에서 40GB 이상의 고용량 하드디스크 인식 불능

BX 이전(펜티엄 Ⅱ)의 메인보드에서는 40GB 이상 고용량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메인보드 제조업체의 홈페이지를 방문해 최신 BIOS 파일이 있으면 업그레이드하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