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구병은 이름 그대로 손, 발 그리고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병입니다. 미국 사람도 수족구병을 ‘Hand-foot-and mouth’병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원인
접촉에 의해 전염 또 전염 수족구병은 콕삭키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대개 Coxsackievirus A16이 수족구 병을 일으키지만 엔테로바이러스71이나 기타 여러 종류의 다른 바이러스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한번 걸렸다고 수족구병에 다시 안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수족구는 접촉에 의해서 전염이 됩니다. 공기로 전염되기도 하지만 대개의 경우는 감기와 마찬가지로 아이들의 손과 입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가게 됩니다. 장난감을 통해서 옮기도 하고 다른 아이가 방바닥에 흘린 침을 손에 묻혀 입에 가져가도 걸릴 수 있습니다.
수족구는 물집이 잡히기 이틀 전부터 이미 전염이 되는데 물집이 잡힌 후 일주일 후부터는 전염성이 떨어지지만 수주일간은 전염이 가능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발병 1주일간은 전염을 줄이기 위해서 유치원을 쉬게 합니다. 일단 전염이 되면 4~6일 정도 지난 후에 수족구병에 걸리게 됩니다.
주로 6개월에서 4세 사이의 아이들이 잘 걸리는데 아주 드물게 엄마와 아이가 같이 수족구병에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엄마가 걸릴까 봐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주 드물게 사망하는 경우도 있지만 워낙 드물기 때문에 미리 걱정하지는 마시고 수족구 병에 걸리면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증상
손과 발, 입안에 물집이 잡힘 수족구병은 이름 그대로 손과 발과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병입니다. 무릎이나 엉덩이에 물집이 잡히기도 합니다. 열이 나는 것이 특징 중에 하나인데 간혹 열은 별로 없고 손발이나 입안에 물집만 잡혀서 이게 수족구가 맞느냐고 물으러 오는 엄마도 있습니다.
입안에 생기는 병변은 헐어서 아파서 잘 먹지 못하고 심한 경우 탈수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입안이 헌것은 4~8㎜정도의 크기이며 손발의 물집은 3~7㎜정도입니다. 간혹 이 물집을 치료하기 위해서 터뜨리고 오는 분도 있는데 이 물집은 건드리지 마십시오. 그냥 두시면 저절로 사라집니다. 겁나게 보여도 연고를 발라서는 안 됩니다. 대개 1주에서 10일 정도면 사라집니다.
대처방법 집에서 아이를 도와줄 수 있는 방법
수족구병에 걸리면 3가지를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열이 많이 나는 경우 열성 경련을 주의하시고 입이 아파서 잘 먹지 못하는 경우 탈수를 주의하시고 드물게 수족구병의 원인이 바이러스가 같이 일으키는 뇌막염이나 심근염을 주의하십시오.
1) 열성경련 주의하기
권장되는 해열제는 타이레놀과 부루펜입니다. 단 6개월 이전의 아가는 부루펜을 사용하지 마시고 아이가 탈수가 심할 때도 부루펜을 사용해서는 곤란한 경우가 있습니다. 18세 이전에는 아스피린을 사용하는 것도 피하십시오.
6개월이 지난 아기가 고열이 있는 경우는 부루펜을 조금 더 권장하는데 부루펜을 사용하면 타에레놀보다 해열제의 지속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자주 먹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잘 먹이기
따뜻한 음식보다는 찬 음식을 더 잘 먹을 수 있습니다. 큰 아이가 설사 하지 않는다면 아이스크림이나 밀크셰이크나 샤베트나 빙수를 만들어 주어도 좋습니다. 찬물도 상관이 없습니다. 찬 것을 먹이면 입안에 얼얼해져 아픈 것도 좀 잊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맛있게 먹는 아이스크림을 주면 좀 아프더라도 잘 먹습니다. 그래서 이 병을 어떤 의사들은 아이스크림 병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아이스크림은 탈수를 막는 효과와 통증을 줄이는 이중의 효과가 있습니다.
맵고 시고 자극적인 음식보다는 담백하고 음식이 좋습니다. 과일 주스를 먹이는 것도 좋은데 신맛이 나는 오렌지 주스 같은 것은 피하십시오. 감귤이나 사과 같은 것도 신 것을 주지는 마십시오.
3) 입 안 통증 줄여주기
찻숟가락으로 소금을 담아 입에 넣어주면 편해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하루에 4번을 줄 수 있습니다. 좀 큰 아이의 경우 양치하듯이 뱉어주어도 됩니다. 실제로 심한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소아과 청소년과 의사의 처방이 있을 때만 사용하십시오.
병원진료
의사에게 진료 받아야 하는 경우 만일 잘 먹지도 못한 아이가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는다면 바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1세 이전의 아가가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거나 1세 이후의 아이가 12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는다면 밤중이라도 응급실로 가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수족구병에 걸린 아이가 열이 3일 이상 가면 주의하여야 합니다. 열이 심하면서 머리를 아파하고 토하거나 목이 뻣뻣해지는 경우는 뇌막염이 동반된 것이 아닌가 반드시 소아과 의사에게 문의를 하여야 합니다. 밤중이면 응급실로라도 가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수족구 바이러스에 의해서 뇌막염이 생긴 경우라면 대개의 경우는 소아과 의사의 치료를 적절히 받으면 시간이 지나면 별문제 없이 좋아집니다. 하지만 간혹 다른 세균에 의한 뇌막염이 비슷한 모습으로 우연히 걸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필수적입니다.
심장이 빨리 뛰거나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는 심장에 합병증이 생긴 경우일 수도 있으므로 바로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구에 걸려도 일단 아이가 열만 좀 떨어지고 먹을 수만 있으면 그렇게 큰 고생을 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두어도 별 탈 없이 좋아집니다. 하지만 소아과 치료를 하면 아이가 좀 더 편하게 넘어갈 수가 있습니다. 저의 아이라면 치료를 할 것입니다. 수족구병에 걸려도 대개는 1주일 정도 지나면 좋아집니다. 너무 걱정하지는 마십시오.
예방
신체와 접촉하는 것은 자주 씻어내기 수족구를 예방하려면 수족구에 걸린 아이와 접촉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그게 가능하지 못한 경우도 많습니다.
아이들이 화장실에서 일을 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게 하십시오. 바닥을 자주 닦고 아이들의 손이 닿는 탁자와 의자 등도 자주 닦아주고 같이 사용하는 장난감은 물로 자주 헹구어 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기저귀를 갈거나 음식을 준비할 때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합니다. 그리고 유아원같이 단체생활을 하는 곳에서는 천 기저귀보다는 좋은 종이 기저귀를 사용하는 것이 수족구병이 퍼지는 것을 막는데 조금은 더 좋을 수 있습니다.
간혹 수족구에 걸린 아이는 절대 유치원에 오지 못하게 했는데 수족구가 왜 계속 도느냐는 문의를 받습니다. 애석하게도 수족구라는 병은 물집이 잡히기 이틀 전부터, 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 수도 없는 시점에 이미 다른 아이들에게 수족구를 퍼뜨리기 때문에 쉽게 전염을 막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물집이 잡힌 후 1주일간은 잘 옮기지만 그 이후에도 수주일간은 전염이 될 수 있습니다.
|
'뉴스 및 정보 > 건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모차 조깅'으로 출산 후 다이어트 성공한 女 (0) | 2014.03.20 |
---|---|
봄날 졸음은 수험생의 적… 수면 클리닉 강연 들어 보니 (0) | 2014.03.20 |
면역력 쑥쑥 올리는 비법…알파벳 A~H에 있다! (0) | 2013.05.24 |
뇌를 죽이는 습관 vs 뇌를 살리는 습관 (0) | 2013.05.14 |
[칼럼]당뇨병은 왜 당뇨병일까 (0) | 201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