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LED와 LCD의 장점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듯 하네요..
대부분의 분들이 민감하지 않으면 화질상 큰 차이없다..
전기세 많이 차이 나지 않는다... 하시는데.. 실상은 조금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단 LED건 LCD건 LCD패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지 LCD패널에는 스스로 발광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우리가 눈으로 볼수 있도록 패널 뒤에서
광원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라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마치 핸드폰에서 액정상에는 시간등을 표시하면서 계속해서 화면이 움직이고 있지만 우리가 눈으로 시간을 확인 하려면 버튼을 눌러서 백라이트가 켜져야만 확인이 가능한 원리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이광원 역활을 하는 백라이트의 방식이 기존의 CCFL이라는 형광등 같은것이냐
LED 광원이냐의 차이에 따라 LCD TV/LED TV 라고 나뉩니다.
우선 구조적으로 CCFL의 평균수명은 3~5만 시간, LED의 평균수명은 10만시간 정도이며
시간 경과후 교체비용은 대부분 25~30만원 정도 입니다.
하지만 대략 체감 수명은 LCD 3년 LED는 7~10년정도로 보시면 될듯 합니다.
그외 소비전력은 30%이상 저렴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얼마전 불만제로에도 나왔듯이 전기장판 월 소비전력 얼마여서 한달에 얼마!! 라고 광고 되고 있던 부분이 사실 집안에서 아무것도 쓰지 않고 전기장판만 사용할때 나오는 금액인거 보셨죠? 똑같습니다.
어떤분께서 한달 전기세 비교 하면서 4천원인가 차이 난다고 써놨는데.. 그거야 우리나라와 같이 누진세 적용되는 나라에서는 전혀 의미없는 비교라고 보시면 되고 사실상 체감전기세는 한달에 최소만원이상이라고 보시면 될듯합니다..
물론 PDP TV는 제품 생태적으로 훨씬 더 많은 전기세가 부가 될 겁니다. PDP 라는 것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의 약자로 화면에서 보이는 셀 하나하나당 모두 전기신호를 줘서 들어가있는 플라즈마 가스를 발광 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이죠.그렇기 때문에 화면 하얀색이 다른 led,lcd의 라이트 방식이 아니라서 전반적으로 누런색이 나타나게 됩니다.
어쨌든 제 결론은 매장만 나가봐도 알겠지만 진열코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대세는 LED TV죠..그리고 우리나라처럼 까다로운 고객이 많은 나라에서 단지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나왔다고 바로 주류가 될수 있을까요?? 많은 인터넷상의 준전문가 분들이 가격차이를 상쇄할정도의 신제품에 메리트가 있다고 판단되서 주류가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 LED TV가격도 엄청 싸졌고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번이 tv를 네번째 구매 했는데 (지인분들 구매대행포함이요^^)최근 세달 이상 공부하고 발품팔아서 결국 소니 EX700시리즈 LED TV 구매 했습니다.
TV라는것이 결국 방송국에서 쏘아주는 방송신호를 얼마나 손실과 잡음없이 깔끔하게 잘 해독해 주느냐가 관건이기 때문에 방송장비의 70%이상이 소니장비인 우리나라에서는 결국 아직까지 가격대비 소니 TV 화질을 따라 올수 없다는 것이 제 판단 이었습니다.
자질구레한 부가기능들은 결국엔 전혀 사용하지 않을거라는것을 그동안의 디지탈 제품 구매하면서 학습효과로 잘알고 있었기 때문에요^^
AS야 솔직히 삼성이나엘지나소니나 다 거기서 거기 입니다. 대기업들은 어차피 소비자 보호법에 따라 보상진행 되기 때문이죠^^
'뉴스 및 정보 > 컴퓨터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P TV [plasma display pannel television] (0) | 2011.07.30 |
---|---|
PDP, LCD, LED 차이 (0) | 2011.07.30 |
LED와 LCD의 차이 (TV) (0) | 2011.07.30 |
시작프로그램관리 (0) | 2011.07.29 |
CPU 온도 보는법 (0) | 2011.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