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다양한 성장 배경을 갖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부자인 빌 게이츠는 유명한 변호사 아버지와 교사 어머니 밑에서 유복하게 자랐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은 중산층 가정에서 성장했다.

방송인 오프라 윈프리는 극심한 빈곤 속에서 불운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환경이 중요하긴 하지만 성공한 사람들 사이에서 환경적 공통점을 찾기란 쉽지 않다.

집안 환경이나 학벌은 한 사람의 성공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성공한 사람들을 무엇이든 공통점으로 묶을 수 있다면 그건 환경이 아니라 습관이다.

 '부자 되는 습관'(Rich Habits)의 저자 토마스 C. 콜리는 223명의 부자들과 128명의 가난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습관을 조사했다.

부자들은 연간 16만달러 이상을 벌고 순자산이 320만달러가 넘는 사람들이다.

가난한 사람들은 연간 소득이 3만달러 이하이고 순자산이 5000달러 미만이다.

이 결과 부자들과 가난한 사람들의 일상 습관은 천양지차였다.

부자들과 가난한 사람은 일상습관이 다르다


부자들은 매일 30분 이상씩 책을 읽는다는 대답이 88%에 달했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2%에 불과했다. 책 읽는 것을 좋아한다는 대답도 부자는 86%였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26%에 그쳤다. 또 부자들은 매일 해야 할 일을 메모해둔다는 대답이 86%였다. 반면 가난한 사람들은 9%만이 해야 할 일을 기록했다.

부자들은 TV를 하루에 1시간 미만으로 본다는 대답이 60%가 넘었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20% 남짓만이 하루 TV 시청 시간이 1시간 미만이었다. 부자들은 또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본다는 대답이 5% 남짓이었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75%가 넘었다.

부자들은 출근 3시간 이상 전에 일어난다는 대답이 44%로 절반 가량이었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3%에 그쳤다. 일주일에 4번 이상 운동한다는 대답도 부자들이 76%로 가난한 사람들 23%보다 훨씬 많았다. 부자들은 63%가 출퇴근하는 자동차 안에서 오디오북을 들었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5%만이 그랬다.

목표 설정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부자들은 67%가 목표를 글로 적어두는데 비해 가난한 사람들은 17%만 목표를 기록했다.

 

부자들은 80%가 구체적인 목표 달성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가난한 사람들은 이 비율이 12%로 낮았다.

 

부자들은 86%가 평생을 통해 교육을 받으며 자기계발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5%만이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부자들은 84%가 좋은 습관이 좋은 기회를 만든다고 생각했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이 비율이 4%에 불과했다.

 

부자들은 76%가 나쁜 습관이 인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9%만 그렇다고 대답해 나쁜 습관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녀 교육법도 달랐다.

자녀에게 성공하는 습관을 가르친다는 대답이 부자들은 74%였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1%였다.

자녀에게 한달에 10시간 이상 봉사활동을 시킨다는 대답이 부자들은 70%였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3%였다. 자녀들이 매달 2권 이상의 비문학 서적을 읽도록 격려한다는 대답이 부자들은 63%였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3%였다.

부자들의 공통된 습관,

일찍 일어나고 매일 책을 읽고 TV를 멀리하고 할 일을 메모해두고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좋은 습관은 키우고 나쁜 습관은 버리려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것을 따라 한다고 반드시 성공하고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부자들과 가난한 사람들 사이에 이처럼 뚜렷하게 습관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부자 되는 습관이 부자가 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부자가 되는 습관들은 곰곰히 살펴보면 부자가 되는데 확실히 도움이 된다. 일찍 일어나면 하루를 잘 준비하게 되고 할 일을 적어두면 할 일을 깜박하고 못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비문학 서적을 읽으면 경제, 사회, 과학 등에 대한 식견을 넓힐 수 있고 TV를 덜 보면 시간을 절약하고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 적어두면 그만큼 목표를 거듭 상기하면서 달성하고자 하는 의욕을 다질 수 있다.

자녀에게 봉사활동을 시키는 것도 결국 봉사활동을 통해 사회를 배우고 체험하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경쟁이 치열해진 사회에서 성공하려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가치가 되는 일을 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체감하게 해주는 것이다. 부자 되는 습관, 3개월만 시도해보고 인생이 어떻게 바뀌는지 경험해 보는 것은 어떨까.

 

 

일본인의 평균수명은 세계에서 가장 길지만, '건강수명'(요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자립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나이)은 평균수명보다 7년 정도 짧다. 이 말은 많은 사람이 죽을 때까지 건강을 유지하지 못하고 몇 년간 요양이 필요한 상태로 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근력이 떨어지는 노년기에는 운동기능저하증후군(locomotive syndrome) 등으로 점점 움직이기 어려운 상태에 처할 수도 있다. 손가락 요가로 근력을 키우기는 힘들지만 신체를 유연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뇌를 자극하고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치매 예방에도 한몫을 한다.

몸이 약해지면 뇌도 약해진다. 뇌가 약해지면 기력이 없어지고 몸을 움직이기 힘들어진다. 움직이기 힘들다고 몸을 방치하면 점점 몸이 굳고 기운이 허해진다. 내게 요가를 배우는 사람들 중에도 나이가 많고 병을 앓는 사람들이 꽤 있는데, 그들에게 손가락 요가의 기초를 알려주면 '이 정도면 나도 할 수 있겠다'며 반긴다. 그리고 운동을 지속하는 동안 기력이 돌아오고 말수도 늘어난다. 뇌가 깨어나는 것이다. 삶을 대하는 자세도 의욕적으로 변하고 표정에도 생기가 돌아오며, 자주 몸을 더 움직이고 싶다고 이야기한다.

컨디션이 안 좋은데 기분도 내키지 않고,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은 날이 있다. 그런 날에는 다른 동작은 제쳐놓고 그저 손을 쫙 펴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 지금 소개한 동작들은 아침에 일어났을 때 이불 속에서도 할 수 있다.

아무것도 하기 싫지만 해야 할 일이 있다. 그럴 때는 골고루 손바닥을 주물러보자. 손바닥에서 몸 속 깊은 곳으로 힘이 전달되면서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

(서울=연합뉴스) 현혜란 기자

'급한 성격', '운이 좋은', '타고난'…. 이번 달부터 열리는 신입사원 공채 지원 자기소개서에 피해야 할 표현들이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기업 인사담당자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소개서에서 비호감 인상을 주는 열쇳말을 주제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급한'을 꼽은 인사담당자가 42.9%로 1위를 차지했다. 예를 들어 '성격이 급한 편'이라고 쓴다면, 합리적이지 못하고 충동적인 성향이라는 인상을 준다는 것.

이럴 때에는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내린다'는 표현을 사용해 긍정적인 느낌을 줘야 한다는 게 사람인의 조언이다.

이어 '운이 좋은'(33.3%), '타고난'(24.3%)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선천적 요소보다 후천적인 열정과 노력을 선호한다는 뜻으로 사람인은 분석했다.

이와 함께 '완벽주의의'(22.4%), '낙천적인'(21.4%), '성과지향적인'(17.1%), '가족중심의'(15.7%), '최고의'(15.7%), '타협적인'(15.2%), '과감한'(14.3%), '원칙주의의'(14.3%), '착한'(14.3%) 등의 표현도 꺼렸다.

가장 호감이 가는 표현으로는 '책임감 있는'(54.8%)을 꼽았다. 임직원들의 책임감이 갖춰져야 조직 운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어 '성실한'(47.6%)과 '긍정적인'(46.7%), '적극적인'(34.8%), '열정적인'(26.2%), '예의 바른'(23.8%), '정직한'(22.4%), '도전적인'(21.9%), '협동적인'(18.6%) 등을 호감이 가는 표현으로 선택했다.

runr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윈도우7 단축키 모음 ^^

 


윈도우7 단축키 (기본)

단축키

설명

활용도

Win + ↑

사용중인 창을 최대화

★★★

Win + ↓

사용중인 창을 이전 크기 또는 최소화

★★

Win + ←

사용중인 창을 스크린 왼쪽 사이드로 최대화

Win + →

사용중인 창을 스크린 오른쪽 사이드로 최대화

Win + Home

사용중인 창만 남기고 모든 창을 최소화

★★★

Win + Space

모든 창을 투명화 시켜 바탕화면을 볼 수 있음
(
에어로 피크 기능)

★★★

Win + Pause/Break

시스템 속성 대화상자 표시

Win + Tab

플립 3D (Win 키를 누른 채로 계속 탭을 눌러 창 전환)

★★★

Win + Shift + Tab

플립 3D 역방향으로 회전

Ctrl + Win + Tab

플립 3D 고정 모드로 실행 (Esc 키로 취소)

★★

Win + D

바탕화면 보기 / 복구

★★★

Win + E

탐색기 열기

★★★

Win + F

검색

★★★

Win + G

가젯을 차례로 선택

★★

Win + M

모든 창 최소화

★★

Win + Shift + M

최소화 된 창 복원

Win + P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 모드 선택

Win + R

실행 대화 상자 열기

★★★

Win + X

윈도우 모바일 센터 실행

Win + =

돋보기

Win + [+/-]

돋보기 확대/축소

Win + Shift + ↑

사용중인 창을 수직으로 최대화

Win + Shift + ↓

사용중인 창을 이전 세로 크기로 복구

Win + Shift + ←

사용중인 창을 이전 모니터로 이동

★★★

Win + Shift + →

사용중인 창을 다음 모니터로 이동

★★★

Ctrl + Shift + Esc

작업 관리자 실행

★★★

Alt + F4

사용중인 창 닫기

★★★

Ctrl + F4

동시에 여러 문서를 열 수 있는 프로그램에서 활성 문서 닫기

★★

Alt + Tab

활성 프로그램 전환 (Alt 키를 누른 채로 계속 탭을 눌러 창 전환)

★★★

Alt + Shift + Tab

활성 프로그램 역방향으로 전환

Ctrl + Alt + Tab

활성 프로그램 전환을 고정 모드로 실행

★★

Alt + Esc

프로그램을 열린 순서대로 선택

★★

Ctrl + Esc 또는 Win

시작 메뉴 열기

★★★

 

 

윈도우7 단축키 (탐색기 단축키)

단축키

설명

활용도

Alt + ←

뒤로 이동

★★★

Alt + →

앞으로 이동

★★★

Alt +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

Alt + Enter

선택한 파일/폴더의 속성 대화상자 열기

★★★

Alt + D

주소표시줄로 포커스 이동

Alt + P

미리 보기 창 보이기 / 감추기

★★

Ctrl + E 또는 F3

검색 상자 선택

Ctrl + N

새 창 열기

★★★

Ctrl + Shift + N

새 폴더 만들기

★★★

Ctrl + 마우스휠

보기 모드를 아주 큰 아이콘, 큰 아이콘, 보통 아이콘, 작은 아이콘, 간단히, 자세히, 나란히 보기, 내용 순으로 변경

★★★

Num Lock + *

선택한 폴더의 모든 하위 폴더를 표시

Num Lock + +

선택한 폴더의 내용 표시

Num Lock + -

선택한 폴더 축소

F2

이름 바꾸기

★★★

F4

주소표시줄 목록 표시

F5

새로 고침

★★★

F10

메뉴 도구 표시

★★

F11

창 최대화 또는 복구

★★

 

 

윈도우7 단축키 (작업표시줄 단축키)

단축키

설명

활용도

Win + 숫자

작업표시줄에 고정된 프로그램을 활성화 또는 구동시킴
(
왼쪽부터 순서대로 1,2,3..)

★★★

Win + Alt + 숫자

작업표시줄에 고정된 프로그램의 점프리스트를 열어줌
(
왼쪽부터 순서대로 1,2,3..)

★★

Win + Ctrl + 숫자

작업표시줄에 고정된 프로그램의 열린 창을 순서대로 보여줌
(IE
또는 워드처럼 복수의 창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적용되고 왼쪽부터 순서대로 1,2,3..)

★★

Win + Shift + 숫자

작업표시줄에 고정된 프로그램의 새 창(인스턴스) 열기
(
왼쪽부터 순서대로 1,2,3..)

★★

Win + B

포커스를 작업표시줄 오른쪽의 시스템 알림 영역으로 이동
(
이후 화살표키로 이동)

★★

Win + T

작업표시줄의 프로그램 썸네일을 순서대로 볼 수 있음
(
이후 화살표키로 이동)

★★

Ctrl + 아이콘 클릭

작업표시줄에 고정된 프로그램의 열린 창을 순서대로 보여줌
(IE
또는 워드처럼 복수의 창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적용)

★★

Shift + 아이콘 클릭

클릭한 프로그램의 새 창(인스턴스) 열기

★★★

아이콘 미들 클릭

클릭한 프로그램의 새 창(인스턴스) 열기

★★★

Ctrl + Shift + 아이콘 클릭

관리자 권한으로 클릭한 프로그램의 새 창(인스턴스) 열기

★★★

 

 

 

윈도우7 단축키 (윈도우7 로그인 / 로그 아웃)

단축키

설명

활용도

Win + → + Enter

시스템 종료

★★

Win + → + → + R

시스템 다시 시작

★★

Win + → + → + S

시스템 절전

★★

Win + → + → + W

시스템 사용자 전환

★★

Win + → + → + L

시스템 로그오프

★★

Win + L

시스템 잠금

★★★

 (시스템 잠금 단축키 외에는 모두 키보드의 키를 순서대로 눌러서 실행)



 

+ Recent posts